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C Language

(40)
함수 정리 절차지향적 성격을 띄는 C언어에서 함수는 전부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닌것 같다. 모든 C에는 함수가 없는 코드가 없다. 함수로 시작해서 함수로 끝나는 언어인 C언어의 함수를 정리해보자. 초반부에서 함수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는데 그 당시 그림을 다시 살펴보자 반환형태 함수 이름 입력형태int main (void) { 함수 몸체 } 이러한 구조의 그림을 기억하자! 이것 또한 정말 중요한 내용이다! 입력(전달인자)와 그에 따른 적절한 반환값이 존재하는것이 함수라고 앞서 얘기했다. 그러나 c언어에는 전달인자가 없거나 반환값이 없는 경우의 함수들도 존재한다. C언어에는 총 4가지 종류로 함수를 나눌수있다.1) 전달인자가 있고 반환값이 있는 경우 2) 전달인자가 있고 반환값이 없는 경우 3) 전달인자가 없고 반환값..
if 문 그리고 else 여태까지는 모든 문장이 하나도 빠짐없이 순서대로 실행되는 구조의 예제들이였다. 하지만 이번 if문을 이용하면 ,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다 즉 , 프로그램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if문을 이용한 조건적 실행흐름 분기의 가장 기본은 if와 else 로 이루어진 if~else문이다 . 그러나 if는 독립적으로도 사용되어 '조건적 실행'이 가능하다!! if문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if(num1>num2){printf("num1이 num2보다 큽니다."); } 위 코드를 그냥 읽어보자 , 음.. 만일 num1이 num2보다 크면 "num1이 num2보다 큽니다."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라는건가..? 맞다 , 정확하다 그럼 다음 예제를 통해 if문의 동작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자! 7..
For 문 ? for문 또한 while문과 같이 반복문중 하나로 자주 이용된다. for문의 필수요소에 대해 알아보자! -필수요소 1 초기식 : 반복을 위한 변수의 선언 및 초기화에 사용 -필수요소 2 조건식 : 반복의 조건을 검사하는 목적으로 선언됨 -필수요소 3 증감식 : 반복의 조건을 '거짓'으로 만드는 증가 및 감소연산 그리고 for문을 통해 위 3요소를 한데 묶을수 있다. for( 초기식 ; 조건식 ; 증감식 ; ){//반복하고자 하는 내용} 예시를 보자 for( i=0;i
Do ~ while 문 ? 이번엔 Do ~ while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do while 또한 while문과 같이 반복문이다. 그리고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만 , 반복의 조건을 검사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다! do~while문의 기본구성 do~while문은 while문과 달리 반복조건을 뒤에서 검사한다. 이렇듯 반복조건을 뒤에서 검사하기때문에 반복조건이 만족하지 못하면 한번도 실행하지 않는 while문과는 달리 반복영역을 최소한 한번은 반복하도록 되어있는 구조이다. 예시를 살펴보자 int num=4; do{printf("Hello World! \n");num++; }while(num
While문 ? 이번에는 반복문 중 하나인 While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while문은 특정 조건을 주고 그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특정영역을 계속 반복하는 구조이다. 코드를 살펴보자 while(num
서식문자 정리 C 프로그래밍에 매우 자주 이용되는 서식문자를 이번에 정리하겠다. 정수형태와 실수형태에 나누어 정리하도록 하겠다. 서식문자 출력 대상(자료형) 출력 형태 %d char , short , int 부호있는 10진수 정수 %ld long 부호있는 10진수 정수 %lld long long 부호있는 10진수 정수 %u unsigned int 부호없는 10진수 정수 %o unsigned int 부호없는 8진수 정수 %x ,% X unsigned int 부호 없는 16진수 정수 정수형태에서 주로 쓰이는건 %d 이다! 서식문자 출력 대상(자료형) 출력 형태 %f float , double 10진수 방식의 부동소수점 실수 %lf long double 10진수 방식의 부동소수점 실수 %e , %E float , doubl..
아스키(ASCII)코드 ? 아스키 코드는 쉽게 표현하자면 , 숫자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현하도록 숫자를 문자에 매핑시킨 것이다. 즉 , 문자의 표현을 위한 약속 ?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미국 표준 협회에 의해서 제정된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코드라는 표준을 선택하여 문자를 표현한다.그리고 이러한 아스키코드는 알파벳과 일부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총 128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몇몇 아스키 코드와 아스키 코드에 할당된 '아스키 코드값'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스키 코드 아스키 코드값 A 65 B 66 C 67 ~ 126 아스키코드의 전체 표는 구글링을 하면 쉽게 확인 가능하다. ASCII 코드는 여러곳에 응용되므로 자주 쓰이는..
기본 자료형 정리 자료형 (Data Type)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앞서 사용해왔던 int , double등이 자료형의 일종이다. 이러한 자료형이 미리 정의되어 있기에 우리는 자료형의 이름을 쉽게 메모리 공간에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자료형은 크게 정수형 , 실수형 으로 나뉘어지며 표현하고자 하는 값의 표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정수형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다. 정수형의 자료형은 char(1바이트) , short(2바이트) , int(4바이트) , long(4바이트) , long long(8바이트)로 나뉘어지고표현에 사용되는 바이트 크기가 클수록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또한 넓어진다.보편적으로 쓰이는 정수형 자료형은 int 이다. 실수형의 자료형은 float(4바이트) , double(8바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