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PlatForm Security
1. CyberPlatform_Basic_1
Platform Security 란 : 컴퓨터 보안 + 인터넷 보안
컴퓨터 보안 : 데이터를 보호하고 공격자를 방해하기 위해 설계된 도구들의 집합
인터넷 보안 : 정보 전송에 관여하는 보안 위반을 탐지, 차단 그리고 방어하는 기능들의 구성
Computer Security의 목표
Confidentiality(기밀성) : 인가된 사용자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Integrity(무결성) : 인가된 사용자만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Availability(가용성) : 인가된 사용자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 개념
Authenticity(인증) : 서비스에 대한 유효성이 신뢰성 있는 Source로부터 온 것인지 또는 사용자가 제시한 것이 맞는지 확인 및 신뢰를 보장해 주는 것.
Accountability(책임추적성) : 개체의 행동을 유일하게 추적하여 찾아낼 수 있게 하는것.
OSI Security Architecture
보안 공격(Security Attack)
기관이 소유한 보안 정보에 손상을 입히는 모든 행위
ex) 주로 보안 3요소 (CIA)에 침해되는 모든 것이 해당된다.
보안 메커니즘(Security Mechanism)
보안공격에 대한 탐지, 방어, 복구를 수행하는 계획된 절차, 장비
보안 서비스(Security Service)
조직의 정보 전송, 데이터 처리의 보안을 강화하는 절차 또는 통신
위협 vs 위험
위협 : 자산에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
위험 :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
Security Attack
Security Attack은 크게 Passive 공격과 Active 공격으로 분류되어진다.
Passive Attack : 시스템으로 정보를 탈취하나 시스템의 자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공격 방법
Active Attack : 시스템 자원 또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 방법
Security Services식별 및 인증
Defined by X.800: 시스템 프로토콜 계층에서 데이터 전송 또는 시스템 보안이 적절히 보장되는 것을 제공하는 서비스
인증(Authentication)
접근 통제(Access Control)
데이터 비밀성(Data Confidentiality)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데이터 가용성(Availability service)
부인 봉쇄(Non-Repudiation)
식별(Identification)
N에서 1을 추출하는 것, N에서 1을 제시하는 것
인증(Authentication)
N에서 추출한 1이 진짜 1임을 확인 또는 증명하는 것
식별/인증의 예시
ID : 전체 회원(N)에서 한 명의 회원(1)을 추출한다. -> 식별
password : 추출한 회원의 암호가 맞을 경우 해당 회원임을 인증한다. -> 인증
접근 통제(Access Control)데이터 기밀성(Data Confidentiality)
연결된 통신을 기반으로 응용프로그램 또는 호스트 시스템의 접근을 통제하거나 제한하는 기능
기능 구현을 위해서 접근을 원하는 객체는 식별(Identification) 및 인증(Authentication)을 먼저 통과하며, 접근권한을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해야 한다.
User-based, IP-based, role-based 등 다양한 접근통제 방법론이 존재함.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Passive 공격에 대한 전송데이터 보호
모든 사용자 간 전송 데이터를 일정 기간 보호하는 것
개별 메시지 보호 또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 보호 포함
네트워크 플로우 분석에 대한 보호
공격자가 출발지, 목적지, 주파수 또는 통신장비에 종속적인 다른 트래픽 특성을 관찰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목표
물리적인 보호 역시 데이터 비밀성의 일환으로 필요하다.
물리적 태핑 공격은 Passive 공격의 최고 등급
가용성 서비스(Availability Service)
메시지서 선택된 필드 또는 메시지 스트림 자체에 적용
연결형 무결성 서비스는 메시지 스트림을 다루며, 메시지가 중복, 삽입, 수정, 재정렬, 재전송이 없는 전송상태로 수신되었음을 보증
비연결 무결성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메시지의 변경 방지만을 제공
부인 봉쇄(Non - Repudiation)
가용성
시스템의 속성이나 자원이 허가된 시스템 요소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접근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
가용성 서비스
시스템이 가용성을 보장하도록 보호하는 것
시스템 자원의 제어 및 적절한 통제는 가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빈번한 DDoS 공격으로 인하여 가용성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통신에 참여한 당사자들이 통신 사실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
수신자는 메시지 송신자의 송신 여부 확인 가능
송신자는 메시지 수신자의 수신 여부 확인 가능
'Hacking & Security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Wall/IDS & Network Monitoring (0) | 2019.11.21 |
---|---|
Cloud Computing (0) | 2019.11.20 |
PLT & GOT (0) | 2018.10.31 |
Linux 환경에서의 메모리 보호기법 (0) | 2018.08.21 |
환경변수란 ? (0) | 2018.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