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조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oromoon&logNo=22079357072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 */
환경변수 :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으로 쉘에서 정의되고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를 나타냄.
(1) 동작 범위에 따른 환경변수
크게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가능
1. 로컬 환경 변수 - 현재 진행중인 세션에서만 동작하는 환경 변수
2. 사용자 환경 변수 -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만 정의된 환경 변수로 로컬 터미널 세션 , 원격 로그인 세션을 사용하여 로그인할때마다 로드됨.
3. 시스템 전체 환경 변수 - 해당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
(관련파일 : /etc/environment , /etc/profile , /etc/profile.d , /etc/bash.bashrc )
(2) 환경변수 구성 파일
.bashrc - 특정 사용자가 새로운 로컬 세션을 생성할 때마다 로드되는 파일로 별칭과 bash가 실행될 때 실행되는 함수등으로 구성.
( 모든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etc/bashrc 와는 달리 ~/.bashrc 는 bash를 실행하는 그 사용자에게만 영향을 줌 )
.bash_profile - 특정 사용자의 원격 로그인 파일로 이 파일에 있는 환경변수는 사용자가 원격 로그인 세션이 이뤄질 시에 호출
/etc/environment -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파일로 필요한 환경변수를 작성하거나 편집 또는 제거함.
(3) 로컬 환경변수 설정
1. 가변적인 변수명 사용 - 기본형식 : 가변 변수명 = 환경변수값 ( ex , var1='example' )
2. export 명령어를 이용 - 기본형식 : export [변수명]=[환경변수값]
( 주의할 점은 , 변수명과 데이터 사이에 있는 '='과 띄워쓰기를 하면 오류발생 )
'Hacking & Security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T & GOT (0) | 2018.10.31 |
---|---|
Linux 환경에서의 메모리 보호기법 (0) | 2018.08.21 |
Buffer Overflow Basic 3 (0) | 2018.01.16 |
Buffer Overflow Basic 2 (0) | 2018.01.16 |
Buffer Overflow Basic 1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