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S

[iOS] CleanArchitecutre 톺아보기 3 - Data

CleanArchitecture 톺아보기 3 - Data

 

안녕하세요! ian 입니다.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 Data 계층에 대하여 톺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는 기존 예제를 그대로 살펴보도록 할게요!

 

 

Data 계층


Data 계층에는 이전에 살펴봤던 Domain 계층에 존재하던 레포지터리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레포지터리 구현체가 존재하며 실제 앱에서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이터소스를 담당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소스란 리모트 혹은 로컬(ex: Persistent DB) 등을 의미하며 Data 계층 또한 Domain 계층에 대한 의존성을 갖습니다.

 

자 그러면 레포지터리 구현체부터 톺아보도록 해요:D

 

Repository


 

이전 포스팅에서 Repository 인터페이스들을 살펴봤으며 대표적으로 검색 쿼리에 따른 영화 정보를 가져오는 함수 fetchMoviesList(query:,page:,cached:,completion:) 가 존재하던 MoviesRespotiry 가 있었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 DefaultMoviesRepository 는 아래와 같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final class DefaultMoviesRepository {

    private let dataTransferService: DataTransferService
    private let cache: MoviesResponseStorage

    init(dataTransferService: DataTransferService, cache: MoviesResponseStorage) {
        self.dataTransferService = dataTransferService
        self.cache = cache
    }
}

extension DefaultMoviesRepository: MoviesRepository {

    public func fetchMoviesList(query: MovieQuery, page: Int,
                                cached: @escaping (MoviesPage) -> Void,
                                completion: @escaping (Result<MoviesPage, Error>) -> Void) -> Cancellable? {

        let requestDTO = MoviesRequestDTO(query: query.query, page: page)
        let task = RepositoryTask()

        cache.getResponse(for: requestDTO) { result in

            if case let .success(responseDTO?) = result {
                cached(responseDTO.toDomain())
            }
            guard !task.isCancelled else { return }

            let endpoint = APIEndpoints.getMovies(with: requestDTO)
            task.networkTask = self.dataTransferService.request(with: endpoint) { result in
                switch result {
                case .success(let responseDTO):
                    self.cache.save(response: responseDTO, for: requestDTO)
                    completion(.success(responseDTO.toDomain()))
                case .failure(let error):
                    completion(.failure(error))
                }
            }
        }
        return task
    }
}

 

상속을 하지 않을 클래스이며 정적 디스패치를 위해 final 키워드를 적용하여 클래스를 정의하였습니다.

 

프로퍼티로 해당 레포지터리에서 데이터를 끌어오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킹 서비스 DataTransferService 와 검색 결과값을 저장하는 Storage를 의존성으로 가지고 있으며 레포지터리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생성자를 통해 주입합니다.

 

각각의 객체들이 담당하는 역할과 책임이 확실히 분리되어 있으니 레포지터리가 가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딱 필요한 책임을 가지는 객체들만 주입을 받습니다.

 

실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은 extension으로 빼서 구현되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프로토콜 채택 형태이며 Swift Prograaming Language 자료에서도 볼 수 있었던 내용의 형태입니다.

 

인터페이스에 기재되어 있던 함수 fetchMoviesList 를 구현한 부분을 살펴보면 cache 라는 MovieResponseStorage 객체를 통해 getResponse 메소드를 호출하고 completion을 통해 result 값을 반환받아 각각의 케이스에 따라 로직을 처리합니다.

 

APIEndpoints 얻어와서 Networking 기능을 랩핑하고 있는 DataTransferService 를 통해 response를 받아옵니다.

 

response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Storage에 save 이후 completion으로 DTO를 엔티티로 변환하여 전달하고 response에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 에러를 전달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봤듯 UseCase가 이를 호출하여 completion을 처리하였습니다.



PersistentStorage


다음으로는 로컬 DB를 담당하는 Persistent Storage입니다.

 

이 또한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두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현체가 존재하는 패턴으로 작업이 되어 있습니다!

 

Storage가 해야 할 일을 인터페이스에 명시해놓고 추후에 DB가 변경될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만 채택하여 DB만 갈아 끼우면 유지보수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할 것 같네요:D

 

protocol MoviesResponseStorage {
    func getResponse(for request: MoviesRequestDTO, completion: @escaping (Result<MoviesResponseDTO?, CoreDataStorageError>) -> Void)
    func save(response: MoviesResponseDTO, for requestDto: MoviesRequestDTO)
}

 

인터페이스만 봐도 MovieResponseStorage가 어떠한 일을 해야 할지 알 수 있습니다.

 

final class CoreDataMoviesResponseStorage {

    private let coreDataStorage: CoreDataStorage

    init(coreDataStorage: CoreDataStorage = CoreDataStorage.shared) {
        self.coreDataStorage = coreDataStorage
    }

    // MARK: - Private

    private func fetchRequest(for requestDto: MoviesRequestDTO) -> NSFetchRequest<MoviesRequestEntity> {
        let request: NSFetchRequest = MoviesRequestEntity.fetchRequest()
        request.predicate = NSPredicate(format: "%K = %@ AND %K = %d",
                                        #keyPath(MoviesRequestEntity.query), requestDto.query,
                                        #keyPath(MoviesRequestEntity.page), requestDto.page)
        return request
    }

    private func deleteResponse(for requestDto: MoviesRequestDTO, in context: NSManagedObjectContext) {
        let request = fetchRequest(for: requestDto)

        do {
            if let result = try context.fetch(request).first {
                context.delete(result)
            }
        } catch {
            print(error)
        }
    }
}

extension CoreDataMoviesResponseStorage: MoviesResponseStorage {

    func getResponse(for requestDto: MoviesRequestDTO, completion: @escaping (Result<MoviesResponseDTO?, CoreDataStorageError>) -> Void) {
        coreDataStorage.performBackgroundTask { context in
            do {
                let fetchRequest = self.fetchRequest(for: requestDto)
                let requestEntity = try context.fetch(fetchRequest).first

                completion(.success(requestEntity?.response?.toDTO()))
            } catch {
                completion(.failure(CoreDataStorageError.readError(error)))
            }
        }
    }

    func save(response responseDto: MoviesResponseDTO, for requestDto: MoviesRequestDTO) {
        coreDataStorage.performBackgroundTask { context in
            do {
                self.deleteResponse(for: requestDto, in: context)

                let requestEntity = requestDto.toEntity(in: context)
                requestEntity.response = responseDto.toEntity(in: context)

                try context.save()
            } catch {
                // TODO: - Log to Crashlytics
                debugPrint("CoreDataMoviesResponseStorage Unresolved error \(error), \((error as NSError).userInfo)")
            }
        }
    }
}

 

MoviesResponseStorage는 DB 용도로 CoreData를 사용하고 있네요!

 

생성자를 통해 싱글톤 CoreDataStorage 객체를 주입받고 NSFetchRequest를 생성하여 반환하는 메소드와 delete를 하는 메소드를 구현하고 앞서 살펴봤던 인터페이스를 Extension으로 뺀 이후 채택하였습니다.

 

해당 기능들을 생성자를 통해 주입받았던 CoreDataStorage(DB)를 통해 getResponsesave 를 구현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간략하게 Data 계층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CleanArchitecture를 톺아보며 느끼는 건 각 계층 그리고 그 계층 내 존재하는 클래스들의 책임과 역할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들 간의 협력 관계가 질서 있게 설계된 의존성 규칙에 따라 명확히 동작하며 인터페이스 기반의 설계 덕택에 객체가 엄격하며 유연한 책임을 가지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