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우리는 변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변수들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 정수형 변수 = 정수의 저장을 목적으로 선언된 변수
- 실수형 변수 = 소수점 이하의 값을 지니는 실수의 저장을 목적으로 선언된 변수
이렇게 나뉜이유는 정수냐 , 실수냐에 따라서 값이 메모리 공간에 저장 및 참조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정수형 변수는 크기에 따라서 char , short , int , long 형태로 나뉘고
실수형 변수도 크기에 따라서 float , double 형태로 나뉜다.
이렇듯 변수의 종류가 다양한 이유와 각각의 차이는 다음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고 , 우선은 다양한 형태의 변수가 존재한다는 점만 기억하고 넘어가자.
우리가 앞서 int형 정수를 선언할때 어떻게 표현했는지 기억해보자
int num = 12 ; // int형 변수 num 선언 후 12로 초기화
지금껏 우리가 선언한 변수들은 모두 int형 변수였다 , 반면 실수를 저장하기 위하 double형 변수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double num2=3.14; //double형 변수 num2 선언 후 3.14로 초기화
우리가 배운 내용을 토대로 , 덧셈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위의 코드의 흐름이 완벽이해 된다면 매우 좋으다
한번 흐름을 살펴보자 ,
4,5행에서 num1과 num2를 선언 및 초기화하였고 6행에서 result라는 변수에 num1+num2값을 저장시켰다.
8행에서 printf함수 호출하여 %d 서식을 통해 인자로 result값을 출력하고 9행과 10행또한 마찬가지로 진행하였다.
우리가 예상했던 결과값 그대로 출력됨을 확인할수 있다.
혹시 이해가 안되시는분은 언제든 댓글로 질문 해주시면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rogramming >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nf 함수? (0) | 2017.10.30 |
---|---|
연산자(Operator) 란? (0) | 2017.10.30 |
변수 (Variable) 란 ? (0) | 2017.10.30 |
printf 함수 ? (0) | 2017.10.30 |
프로그램 기본구성 (0) | 2017.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