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딩
-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 보안 , 처리속도 향사 ,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해서 다른 형태나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혹은 처리 방식
즉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바꾸어주는 것을 의미
1)ASCII 인코딩
- 영문자를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는 숫자로 변환 시켜준다.
1byte(8bit) 중 7bit를 이용하여 표현하므로 총 127개의 문자 표현 가능.
ASCII코드표는 검색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 URL 인코딩
- ASCII코드에 없는 영어를 제외한 외국어와 ASCII 코드에서 표현하지 않는 특수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
- URL인코딩의 특징으로는 코드의 앞에 %문자가 포함된다.
종류 |
URL 코드 |
특징 |
? |
%3F |
인자(파라미터)를 넘겨줄때 사용 |
& |
%26 |
각각의 인자를 구분할 때 사용 |
= |
%3D |
인자 전달로써 인자값을 인자로 전달할때 사용 |
+ |
- |
공백 문자를 표현할 때 사용 |
Null(공백) |
%00 |
공백을 표현할 때 사용 |
3) HTML 인코딩
- HTML문서 안에는 스크립트와 같이 특수 기능을 하는 문자들이 포함된다.
악의적인 특수기능을 막기위해 HTML인코딩을 사용한다.
- ASCII코드값을 기준으로 인코딩된다.
EX) A ( ASCII코드값 = 65 ) -> %#65;
- HTML 인코딩의 특징으로는 코드의 앞에 %#문자가 포함된다.
- HTML 인코딩은 XSS의 방어 대책으로 사용된다.
4) Base64 인코딩
- 이메일 사용을 위한 인터넷 표준 포멧인 MINE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
- Base64 인코딩의 특징은 코드의 마지막에 = 또는 == 문자 포함.
'Hacking & Security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취약점 진단제거 가이드 (0) | 2019.03.03 |
---|---|
SQL Injection (0) | 2017.11.27 |
웹 취약점 분류 (0) | 2017.11.27 |
HTTP Request ~ HTTP Response (0) | 2017.11.27 |
웹 기초 지식 (0) | 2017.11.24 |